-
URL and URINetwork/Basics 2019. 4. 6. 15:31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 URL(Uniform Resource Locator)와 URN(Uniform Resource Name) 을 포함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 URI의 한 형태로,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
-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와 식별자.
- 실제의 네트웍 경로를 가리키며, 네트웍 상의 리소스 접근시에 사용
- 언뜻 보면 같은 것을 의미하는 듯 하다.
하지만 '자원의 위치'라는 것은 결국은 '하나의 파일 위치'를 나타내는 것
- URL의 첫 번째 부분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명시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http이며,
가끔은 ftp 혹은 mailto이며, 드물게 gopher, news, telnet, file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URL 프로토콜 부분을 scheme이라고 한다.
Scheme 뒤에는 콜론(:)이 따라오며 그 뒤에 식별된 자원의 경로가 나타난다.
■URI와 URL의 구분
- http://img0.gmodules.com/ig/images/korea/logo.gif
이와 같은 형식은 logo.gif라는 인터넷상의 자원 위치를 의미 한다.
이는 URI이면서도 URL라고 말할 수 있다.
- http://endic.naver.com/endic.nhn?docid=1232950
여기서 URL은 endic.nhn의 위치를 표기한 http://endic.naver.com/endic.nhn 까지이다.
내가 원하는 정보에 도달 하기위해서는 ?docid=1232950라는 식별자(Identifier)가 필요한 것이다.
결국 위의 http://endic.naver.com/endic.nhn?docid=1232950 주소는
URI이긴 하지만 URL은 아니다
■URN : 내 이름이 뭐지?
■URL : 난 어디에 살지?
■URI : 내 이름이 뭐고 어디에 살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ttnnn1234&logNo=110091727476
'Network >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포워딩 vs DMZ (0) 2020.03.08 네트워크의 지도, OSI 7 계층 (0) 2019.04.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