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HTTPS와 SSL 인증서Network/Http 2020. 6. 27. 01:49
컴퓨터(클라이언트)와 컴퓨터(서버)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통신을 할 때는 3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악수 -> 전송(세션) -> 세션 종료 HTTPS에서 위 3가지 단계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정리해봤다. ■HTTP vs HTTPS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즉 Hypertextdls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을 의미한다. HTTP는 암호화를 하지 않은 채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HTTP 방식으로 주고 받는 메시지(패킷)는 유출되기 쉽다.HTTPS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다. 즉 보안이 강화된 HTTP라고 할 수 있다. ■HTTPS vs SSL HTTPS와 SSL을 같은 의미..
-
-
-
URL and URINetwork/Basics 2019. 4. 6. 15:31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URL(Uniform Resource Locator)와 URN(Uniform Resource Name) 을 포함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URI의 한 형태로,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와 식별자. - 실제의 네트웍 경로를 가리키며, 네트웍 상의 리소스 접근시에 사용- 언뜻 보면 같은 것을 의미하는 듯 하다. 하지만 '자원의 위치'라는 것은 결국은 '하나의 파일 위치'를 나타내는 것- URL의 첫 번째 부분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명시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http이며,가끔은 ftp 혹은 mailto이며, 드물게 gopher, ..
-
네트워크의 지도, OSI 7 계층Network/Basics 2019. 4. 6. 15:24
■ 개요-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 네트워크 작업 과정 중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규칙,규약(인터페이스)- 모델 구성 : L1물리계층 ~ L7응용계층- 이렇게 역할을 나누어 계층간 결합도를 낮추면 - 다른 계층과의 의존성이 낮아져 작업에 용이!- 네트워크 작업의 지도! 내가 어디를 작업하고 있는지 확인가능. 디버깅 용이! ■ L7 응용계층- 일반적인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사용하는 계층으로,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는 가장 많이 신경쓰는 계층- ex) 프로젝트 상에서 비지니스 로직 작성- 프로토콜 종류 : HTTP/HTTPS , FTP , SMTP(메일보낼 때) , POP3(메일 받을 때) , IMAP , Telnet(원격접속프로토콜) , DNS(IP..
-
REST APINetwork/Http 2019. 4. 6. 15:10
■REST API의 의미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적인 상태 전달' REST란,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이미지, 동영상, DB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을 의미 따라서 Restful API는 REST 특징을 지키면서 API를 제공하는 것 ■REST API의 예시 http://uniesta.com/news/view.do?ncd=3421128 이 URI는 Non RESTful URI로, 어떤 자원(resource)인지 쉽게 파악할 수 없다. http://uniesta.com/boards/1/posts/406 이 URL는 RESTful URI로, 요청하는 자원(resource)이 게시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