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대출 후기(일반+버팀목) 2편 - 대출하기카테고리 없음 2021. 1. 18. 22:37
버팀목 전세대출 + 일반 전세대출 후기 1편 - 집 계약하기
우리은행, 신한은행에 대출 신청(실패)
집 계약을 마치고 은행에 대출을 신청하러 갔다. 우선 가장 금리가 낮았었던 우리은행으로 갔다. 그런데 전에 우리은행에 상담했을 땐 전세대출이 가능하다고 했었는데 지금은 대출이 안된다고 했다. 10월 말부터 대출이 막혔단다. 전에는 왜 된다고 한거지? 그 자리에서 바로 이유를 물어봐야 했는데, 다른 은행에서라도 빨리 대출을 신청하려고 일단 나왔다.
두 번째로 신한은행에 갔다. 그런데 이번에는 청년 전세 대출과 일반 전세 대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예전에 상담받았을 때는 도대체 왜 된다고 한거지...? 일단 나왔다. 너무 혼란스러웠다. 이미 큰 금액의 계약을 해버렸는데 대출이 안나온다....? 마음을 가다듬고 마지막 선택지인 농협으로 갔다.
농협은행에 대출 신청(성공)
농협에선 청년 전세 대출은 일반 전세 대출과 동시에 진행할 수 없었고 버팀목과 일반 전세 대출은 동시에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래서 다음날에 2년전 대출 신청했었던 농협 지점으로 갔다. 기존 버팀목 유지 + 버팀목 한도까지 추가 대출 + 일반 전세 자금 대출 이렇게도 진행 가능한 지 물어봤는데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했다. 왜냐하면 일반 전세자금대출은 버팀목 추가 대출 실행 당일에 신청할 수 있다고 한다. "한도만 충분하면 가능할 것 같다 하지만 일단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그 돈은 준비를 해주셔야 한다" 라고 이야기를 하셔서 그냥 버팀목 증액으로 채우려고 했었던 금액을 일반 전세 자금 대출 금액에 포함시켜서 일반 전세 대출 신청을 했다.
대출 신청 서류
일반 전세 대출 서류는 아래와 같았다. 나는 애초에 미리 대출 서류를 다 떼놨다. 덕분에 상담을 받자마자 바로 그자리에서 신청서를 접수할 수 있었다. 근데 사실 아래 서류들은 버팀목 전세대출 기준이어서 일반 전세 대출 서류보다 더 많은 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 등기부등본
- 토지대장
-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 가족관계증명서
- 갑종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 4대보험납부 확인서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재직증명서
- 계약금 영수증
- 공제증서
내가 새로 받은 대출의 상품명은 주택자금대출이다. 변동/고정 금리 중 변동 금리를 선택했는데, 당분간은 코로나로 인해 금리가 올라가지 않을 것 같아서 금리가 더 높은 고정금리보다는 변동금리가 나을 것 같았다. 6개월마다 금리가 갱신되고 기준금리는 0.9%, 가산금리는 1.67% 이어서 합산 2.57%의 이자를 부담하게 됐다.
그리고 내가 그리고 전세 대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들을 안내받았다. 3개 이상의 자동이체, 3개월 합산 100만원의 신용카드 실적, 급여 이체였다. 한편 현재 집주인한테도 현재 전세 계약 만기일에 보증금을 돌려 줄 수 있다는 확답을 다시 한번 더 받았다. 실제 대출 실행과 이사는 3편에서 계속~
댓글